사진/ 텍사스주지사 사무실 홈페이지
텍사스 그레그 에봇 주지사가 텍사스내 고등학교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정책을 입법부의 우선과제로 삼았다.
전문가들은 텍사스에서는 향후 5년간 새롭게 창출될 일자리의 3분의 2가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교육이나 훈련이 필요한 직종으로 분석하고 있지만 현재 많은 졸업생들이 관련 요구를 충족할 기술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텍사스 주정부가 정책적으로 해결과제를 마련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해석된다.
애봇 주지사는 최근 주정연설(State of the State)에서 “고등학교는 더 많은 직업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며, 학생들이 졸업 후 바로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직업교육을 강화하는 것을 향후 2년의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기로 했다.
직업 교육 프로그램 강화의 필요성
애봇 주지사의 2년 예산안에 따르면, 2030년까지 텍사스의 일자리 중 63%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교육이나 훈련을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현재 텍사스에서 고등학교 졸업 후 6년 내에 학위나 직업 관련 자격을 취득하는 학생은 40%도 되지 않는다. 또한 현재 노동 시장에서 이러한 직업에 필요한 기술을 갖춘 근로자는 32%에 불과하다는 것이 텍사스 노동위원회의 분석이다.
애봇 주지사는 2015년, 2030년까지 25~34세 노동자의 60%가 대학 학위나 자격증을 취득하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텍사스는 매년 55만 명의 학생들이 인증서, 준학사, 학사 또는 석사 학위를 취득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직업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예산 확대는 더 많은 학생들에게 직업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빈곤의 악순환을 끊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비영리 단체 ‘Commit Partnership’의 연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26%의 텍사스 청년층만이 생계 유지를 위한 필수 비용(식비, 주거비, 의료비 등)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소득을 벌고 있다. 그렉 망검(Greg Mangum), 유나이티드 웨이 경제 이동성 부사장은 “더 많은 학생들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래야 생활임금을 받을 수 있는 직업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텍사스 기업과 학교들은 직업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외부에서 인재를 유입하는 대신 주 내에서 직접 인력을 양성하는 방향으로 협력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현재 텍사스의 공립 고등학생 중 73.3%가 직업 및 기술 교육(CTE,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에 등록한 학생이 많을수록 해당 학군은 더 많은 예산을 지원받는다. 그러나 산업별 맞춤형 프로그램은 높은 비용이 들며, 최신 장비가 필요하다.
현재 텍사스는 ‘텍사스 일자리 및 교육 보조금 프로그램(JET, Jobs & Education for Texans Grant Program)’을 통해 용접 장비나 간호 훈련 기기 등 고가의 장비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주 정부 예산이 투입되면 비영리 단체들은 장비 구매 부담에서 벗어나 학생과 가정을 위한 생활 지원(식비, 학용품, 주거 지원 등)에 집중할 수 있다.
애봇 주지사는 이번 제안에서 추가적인 예산 증액을 명시하지 않았다. 다만, 텍사스는 지난 2년 동안 7억 달러 이상을 중·고등학교 직업 및 기술 교육 프로그램에 투자했으며, 이 중 일부는 연방 기금에서 지원받았다.
전문가들은 직업 교육이 단순한 기술 교육을 넘어 산업 수요에 맞춰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메리 린 프루네다(Mary Lynn Pruneda), 비영리 싱크탱크 ‘Texas 2036’ 선임 정책 고문은 “학교들이 노동 시장과 연계되지 않은 직업 교육을 제공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플로리스트(꽃꽂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자격증 같은 교육보다, 건축, 목공, 정보기술(IT), 의료, 제조업 등의 직종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의미다.
애봇 주지사의 정책은 텍사스 고등학교의 직업 훈련 프로그램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학생들이 고소득 일자리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다만, 실질적인 예산 증액이 포함되지 않은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향후 입법부에서 추가적인 예산 확보 여부와 산업 수요에 맞춘 교육과정 개편이 핵심 논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안미향 기자 amiangs021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