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google
65년전 오늘, 1955년 12월 1일 앨라바마 주 몽고메리의 재봉사였던 42세의 로사 팍스(Rosa Parks)는 백인 승객에게 앞자리 좌석을 양보하고 뒤로 가라는 운전사의 명령을 거부했다. 그리고 체포됐다. 이 사건이 세상에 알려지자 약 1년 동안 몽고메리에서는 버스 보이콧으로 이어졌고, 결국 미 남부지역에 뿌리박혔던 인종분리정책(segregation laws)의 종식을 가져왔다.
미국의 대표적인 인종차별법인 짐 크로우법에 의해 미 남부지역엔 흑인과 백인의 생활주거공간부터 학교, 대중교통 심지어 화장실까지 구분지었다. 흑인 어린이들에게는 스쿨버스가 제공되지도 않았고 백인아이들과 함께 있는 것 조차 허용되지 않았다. 흑인들에게는 교육의 기회도 공평하지 않았다. 당시 전국의 흑인들 중에 7%만이 고등학교 이상 학력을 가질 만큼 교육환경에 대한 차별이 극심했다.
로사 팍스는 퇴근길 버스를 탔고 검은색구역(흑인 전용구간) 보다 앞자리에 앉았다. 이 때문에 경찰에 체포된 로사 팍스는 ‘무질서한 행동’을 했다는 이유로 유죄판결을 받게 된다.
당시 26살이었던 마틴 루터 킹 목사는 젊은 흑인 청년들을 조직하고 381일 동안 버스 보이콧 비롯한 불매운동과 인권운동을 시작한다. 사건은 결국 대법원에서 피부색에 따른 대중교통 차별은 위헌이라는 판결이 났다. 그러나 미 전역에서 흑백 간의 인종분리정책이 완전히 없어진 것은 1964년이다.
미국 인권운동의 상징이 된 팍스 여사는 백인 우월단체인 KKK와 지역내 백인들의 위협에 시달렸다. 결국 앨라바마를 떠나 미시건으로 이사한 팍스 여사는 민권운동을 하며 흑인들의 권익향상을 위해 평생을 바치고 2005년 10월 92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안기자! 생각 엔(N)] 65년 전 오늘, 로사 팍스의 싸움은 시작됐다](https://texasnarchive.com/wp-content/uploads/2020/12/07626583-64AA-43AE-B7C2-377EA3F856D9-750x375.jpeg)







![[속보] 달라스 한인타운 한인미용실 ‘헤어월드’ 총기난사](https://texasnarchive.com/wp-content/uploads/2022/05/CC6BAD46-AF55-4C8D-B417-A54382F2D733-120x86.jpeg)
![[1보] 달라스 한인타운 한복판에서 총격 … 해피데이 한인 여주인 사망](https://texasnarchive.com/wp-content/uploads/2023/04/Screen-Shot-2023-04-04-at-12.11.34-PM-120x86.png)
![[단독 1보] 영일만 유전 조사했다는 세계적인 심해평가기관 , 1인 기업에 주소는 자택](https://texasnarchive.com/wp-content/uploads/2024/06/Screenshot-2024-06-03-at-2.35.57 PM-120x86.png)



![[속보] 달라스 경찰국 브리핑 … “증오범죄 맞다”](https://texasnarchive.com/wp-content/uploads/2022/05/7CBB4A96-8B9B-40E4-871C-6C2B359E9DA8-120x86.jpeg)




